행복한 눈물의 의미
얼마전 삼성의 비자금수사 와중에
리히텐 슈타인의 행복한 눈물을 삼성의 마나님께서 샀다는 것이 이야기거리가 되고 있다.
그에 따라서 '팝아트'라는것이 뭔지에 대해서도 사람들이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림만 보면 이게무슨 장난치는것인지 하는 생각이든다.
왜냐하면 단순히 만화의 한컷을 그대로 확대해서 그린것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앤디워홀등 팝 아트의 선구자격인 이사람들은 현대의 미술체계를 조롱하는듯한
파격적인 작품으로 대중들을 혼란시킨다.
대중이란 개념을 중심으로 일정한 이미지를 무한복제한다.
마돈나와 코카콜라의 이미지를 차용하기도 하고 변기를 작품으로 놓기도 한다.
팝아트와는 다른부분이 있지만 어떤이들은 정크아트라며 쓰레기를 작품이라고 내놓기도 한다.
미술은 생산자와 소비자가 있으면 작품으로써의 가치가 생성된다.
그사람의 명성에 따라서 자신의 노력과는 상관없이 가격이 올라가기도 한다.
행복한눈물의 구매가가 100억을 가까이 한다는 이야기들 들었다.
웬만한사람은 평생을 벌어도 살수없는 그림이다.
현대 자본주의 사회하에서는 수요가 있으면 유명인의 낙서가 수억원에 팔릴수도 있다.
현대 물질문명을 비판하는듯한 그들의 작품에는 이러한 미술작품의 가격형성 구조 또한
조롱하는듯한 느낌을 받는다.
미술은 돈이 많이드는 직업이다. 없는사람들한테는 미술가란 직업은 사치다.
고로 팔기위해 만드는 그림은 사치품이다.
사치품은 비쌀수록 제값이다. 비쌀수록 좋은 작품일까?
무명이란 이름이 앞에붙는 음악가,미술가,만화가 들 그들의 작품은
수요가 없어 가격을 매기지 못한다. 무명작가의 작품은 비싼 작품보다 못한 작품인가….
작품의 시장가치를 그작품의 실질 가치라고 할수 있을까?
타인의 인정을 받는 시장가치가 진정한 작품의 가치라 할수도 있겠지만
자신의 혼이 들어가있는 작품을 단순한 시장가치 만으로 평가할순 없을것이다.
많은사람에게 인정받지 못하더라도 누군가에겐 그 존재만으로 소중한것이기 때문이다.
리히텐슈타인의 행복한눈물은 그런의미에서 많은 생각을 하게한다.
작자가 그런 가격을 받으려고 한것인지는 모르겠지만 보통사람은 상상 도 못할가격이 형성되었고
그것을 사려는 사람도 가격이 높기때문에 산것일것이다.
그림을 그림으로써 감동을 얻으려는 것보다 돈으로 생각하여 사고파는데 목적을 두는현실이 씁쓸하다.
미술의 진정한 가치는 누구를 위하여 존재하는 것인가?
그림속의 여인은 자신을 돈으로 보고 사고파는 현실이 슬퍼 눈물을 흘리는건 아닐까?
그리고 ...내 그림은 누군가에게 감동의 눈물을 흘리게 할수 있을까?
'생각과 글 > [생각]세상을 보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주노동당의 분열은 예정된일이었다. (0) | 2008.02.04 |
---|---|
정동영의 일자리창출방법? (0) | 2007.12.17 |
광해군과 인조/노무현과 이명박 (0) | 2007.12.13 |
아버지의 명언 (0) | 2007.01.06 |
채플린의 한마디 (0) | 2006.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