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자료실/[정보]세계역사

드라마로 보는 조선역사

goodcomic 2008. 5. 2. 17:34

 

 

조선시대(朝鮮, 1392~1910, 518년간, 총 27대)
왕명 재위기간 약사
1 태조(太祖, 1335~1408) 1392~1398 휘는 성계(成桂). 고려말 무신으로 왜구를 물리쳐 공을 세우고, 1388년 위화도 회군으로 고려를 멸망시키고 92년 조선왕조 세움. 쿠테타 정권의 한계로 인해 명에 사대주의 역사시작.
     

드라마 1996 KBS "용의 눈물"

2 정종(定宗, 1357~1419) 1398~1400 휘는 방과(芳果). 사병을 삼군부에 편입시킴. 즉위 2년만에 방원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상왕이 되었음.
       
3 태종(太宗, 1369~1422) 1400~1418 휘는 방원(芳遠). 태조가 조선을 세우는데 공헌하였으며, 왕자들의 왕위 다툼(왕자의 난)에서 이겨 왕위에 오름. 여러 가지 정책으로 조선왕조의 기틀을 세움.
       

 

4 세종(世宗, 1397~1450) 1418~1450 휘는 도. 태종의 셋째아들. 집현전을 두어 학문을 장려하고, 훈민정음을 창제하고, 측우기, 해시계 등의 과학기구를 창제케함. 외치에도 힘을써 북쪽에 사군과 육진, 남쪽에 삼포를 두었음.
     

대왕 세종 (2008 KBS  / 세종 - 김상경, 태종 - 김영철, 양녕대군 - 박상민, 원경왕후 - 최명길, 소현왕후 - 이윤지)

5 문종(文宗, 1414~1452) 1450~1452 휘는 향(珦). 학문에 밝고 인품이 좋았으며, 세종의 뒤를 이어 유교적 이상 정치를 베풀고 문화를 발달 시켰음.
      설중매 (1984 / 세조 - 남성우, 성종 - 길용우, 연산군 - 임영규, 인수대비 - 고두심, 장녹수 - 이미숙, 김종서 - 전운, 한명회 - 정진, 유자광 - 변희봉
6 단종(端宗, 1441~1457) 1452~1455 12살에 왕위에 올랐으나 계유사화로 영월에 유배되었다가 죽임을 당함. 200년후인 숙종때 왕위를 다시 찾아 단종이라 하였음.
     

왕과 비 (1998 KBS / 세조 - 임동진, 성종 - 이진우, 연산군 - 안재모, 인수대비 - 채시라, 단종 - 정태우, 장녹수 - 유니, 김종서 - 조경환, 한명회 - 최종원,폐비 윤씨 - 김성령, 김처선 - 김성환)

 

 

 

7 세조(世祖, 1417~1468) 1455~1468

휘는 유. 수양대군(首陽大君).조카의 왕위를 빼앗음.

강력한 왕권을 기반으로 국조보감(國朝寶鑑),

경국대전(經國大典) 등을 편찬하고  관제의 개혁으로

괄목할만한 치적을 남김.  

       
8 예종(睿宗, 1441~1469) 1468~1469 휘는 광(胱). 세조의 둘째 아들. 세조때부터 시작한 경국대전을 완성 시켰음. 독살되었다는 설이 있음.
     

한명회 (1994 KBS  / 세조 - 서인석, 한명회 - 이덕화, 문종 - 송승환, 단종 - 정태우,성종 - 박진성, 연산군 - 이민우, 폐비 윤씨 - 장서희, 김종서 - 임동진,인수대비 - 김영란)

 

2008 "SBS왕과나" 

9 성종(成宗, 1457~94) 1469~1494 휘는 혈. 학문을 좋아하고 숭유억불, 인재등용 등 조선초기의 문물 제도를 완성함. 경국대전을 편찬함.
     

드라마 1998 KBS"왕과 비"   2008 "SBS왕과나" 

10 연산군(燕山君, 1476~1506) 1494~1506

휘는 융. 총명하였다 하나 어머니 폐비윤씨의 죽음을 뒤늦게 알고

폭군으로변하여 반대파를 숙청할요량으로 무오사화, 갑자사화, 병인사화등 피바람을 일으키며,기행을 일삼음. 중종반정으로 폐위됨.

     

드라마1995 KBS"장녹수"  .  영화 2005 "왕의 남자"

11 중종(中宗, 1488~1544) 1506~1544

휘는 역. 연산군을 몰아내는 중종반정으로 등극.

혁신정치를 기도하였으나 훈구파의 원한으로 실패하고

1519년 기묘사화, 신사사화를 초래함.

     

여인 천하 (2001 SBS / 중종 - 최종환, 문정왕후 - 전인화, 정난정 - 강수연,경빈 박씨 - 도지원, 조광조 - 차광수) 

* MBC "대장금"

12 인종(仁宗, 1515~1545) 1544~1545 장경왕후의 소생. 기묘사화로 없어진 현량과를 부활함.
       
13 명종(明宗, 1534~1567) 1545~1567 휘는 환. 중종의 둘째 아들. 12세에 즉위하여 을사사화, 정미사화, 을유사화, 을묘왜변을 격음.
       
14 선조(宣祖, 1552~1608) 1567~1608

명종이 후사없이 승하하여 16세에 즉위.적통이 아니라는 약점가짐.

 이이, 이황 등의 인재를 등용 하였으나 당파의 조율 실패와 일본에대한 판단착오로 임진왜란이라는 최악의 재앙을 초래한  왕.

당시 조선인구의 1/3이 죽었다 함.

      드라마 KBS 2004 "불멸의 이순신"
15

광해군

(光海君, 1575~1641)

1608~1623 휘는 혼. 임진왜란시의 공으로 왕위를 받았으나 적자가 아니란 약점으로 임해군, 영창대군을 역모로 죽이고(계축사화), 인목대비를 유폐하였음, 한편 서적편찬 등 내치에 힘쓰고 명나라와 후금에 대한 양면 정책으로 난국에 대처함. 인조반정으로 폐위됨.
      왕의 여자 (2003 SBS / 선조 - 임동진, 광해군 - 지성, 개시 - 박선영, 인목대비 - 홍수현)
16 인조(仁祖, 1595~1649) 1623~1649

광해군을 정당성없이 쿠테타에 의해 몰아내고 왕위에 올랐으나

청을 멀리하고 명에 의지할수 밖에 없는 정치적 한계로

청의 보복을 당함. 이괄의 난, 병자호란, 정묘호란을 격음.

      SBS 드라마 일지매 ,KBS 추노
17 효종(孝宗, 1619~1659) 1649~1659

휘는 호. 인조의 둘째 아들. 병자호란으로 형인 소현세자와 함께 청나라에 볼모로 8년간 잡혀 갔다 돌아와 즉위후 이를 설욕하고자 국력을 양성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함.

소현세자는 청과의 외교에 능력을 발휘하여 좋은 관계를 가졌으나 청에 굴욕을 당한 인조는 소현세자를 매우 싫어 했다함.

      대명 (1981 KBS / 효종 - 김홍기),
SBS 드라마 장길산
18 현종(顯宗, 1641~1674) 1659~1674 휘는 연. 즉위 초부터 남인과 서인의 당쟁에 의해 많은 유신들이 희생됨. 대동법을 전라도에 실시하고, 동철제 활자 10만여 글자를 주조함.
       
19 숙종(肅宗, 1661~1720) 1674~1720

남인, 서인의 당파싸움(기사사화)과 장희빈으로 인한 내환이 잦음. 대동법을 전국으로 확대하고, 백두산 정계비를 세워 국경을 확정함.조선시대 몇안되는 장자 상속의 경우로 정통성확보.

여인들을 이용하여 정적을 숙청함,강력한 왕권확보.

     

장희빈 (2002 KBS / 숙종 - 전광렬, 장희빈 - 김혜수, 인현왕후 - 박선영, 숙빈 최씨 - 박예진)

20 경종(景宗, 1688~1724) 1720~1724 휘는 윤. 숙종의 아들로 장희빈 소생. 신임사화 등 당쟁이 절정에 이름. 어머니 장희빈이 죽기전 아들을 같이 죽자며 성불구로 만들었다는 설이 있음. 자손이 없어 숙종이 영조에게 왕위 물려줌. 
       

 

21 영조(英祖, 1694~1776) 1724~1776 탕평책을 써서 당쟁을 제거에 힘썼으며, 균역법 시행, 신문고 부활, 동국문헌비고 발간 등 부흥의 기틀을 만듬. 말년에 사도세자의 비극이 벌어짐.(아들을 뒤주에 가둬 죽임)
     

대왕의 길 (1998 MBC / 영조 - 박근형, 사도세자 - 임호, 혜경궁 홍씨 - 홍리나,정순왕후 - 이인혜, 숙빈 최씨 - 김영애)
하늘아 하늘아 (1987 KBS / 영조 - 김성겸, 사도세자 - 정보석, 혜경궁 홍씨 - 하희라)

이산 (2008 MBC)

22 정조(正祖, 1752~1800) 1776~1800

휘는 산. 영조의 손자.사도세자의 아들.정적의 압박에도불구하고

탕평책에 의거하여 인재를 등용하고, 서적보관 및 간행을 위한 규장각을 설치함. 임진자, 정유자 등의 새활자를 만들고 실학을 발전시키는 등 문화적 황금 시대를 이룩함. 독살되었다는 설이있음.

     

이산 (2008 MBC / 정조 - 이서진, 영조 - 이순재, 혜경궁 홍씨 - 견미리,효의왕후 - 박은혜, 정순왕후 - 김여진, 홍국영 - 한상진, 정후겸 - 조연우)

23 순조(純祖, 1790~1834) 1800~1834 정조의 아들,휘는 공.김조순(金組淳) 등 안동김씨의 세도정치 시대. 신유사옥을 비롯한 세차레의 천주교 대탄압이 있었음. 1811년 홍경래의 난이 일어남.정조의 정적인 정순왕후의 수렴청정으로 혼란
      조선시대는 정조 사후 부폐한 세도정치의 심화로 급격한 내리막길을 걷고 일본의 식민지가되어 왕권을 빼앗김.
24 헌종(憲宗, 1827~1849) 1834~1849 휘는 환(奐). 8세에 즉위하여 왕5년에 천주교를 탄압하는 기해사옥이 일어났음.
     

드라마 KBS 태양인 이제마

 

25 철종(哲宗, 1831~1863) 1849~1863

휘는 변. 헌종이 후사없이 죽자 대왕대비 순원황후의 명으로 즉위함. 숙청을 피해 강화도에서 농사짓고 있었음.왕2년 김문근(金汶根)의 딸을 왕비로 맞아들여 안동 김씨의 세도정치가 시작됨.

진주민란 등 민란이 많았음. 병사함.태생적으로 권위가 없었음.

      영화 1963년 "강화도령"
26 고종(高宗, 1852~1919) 1863~1907

휘는 희(熙). 흥선대원군의 둘째 아들. 아버지의 정치적 능력으로 왕위에 오름. 흥선대원군과 명성황후의 세력다툼 있었음.

구미열강의 문호개방 압력에 시달림.

1907년 헤이그 밀사사건으로 퇴위함. 임오군란이일어남.

     

드라마 2002년 KBS "명성황후"

27 순종(純宗, 1874~1926) 1907~1910 이름은 척(拓). 고종의 둘째 아들. 1910년 일본에 나라를 빼앗겨 35년간 치욕의 일제시대를 보내게됨. 이왕(李王)으로 불림.
     

영화 "식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