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자료실/[정보]만화자료

우리나라 만화의 역사[1950년대]

goodcomic 2008. 1. 1. 19:34

우리나라 만화역사[1950년대]

 

(김성환-고바우)

 

 

1950 : <만화뉴스>에서 필진 이탈하여 <만화신문> 창간.
-------필진 : 김용환, 송태식, 신동헌, 임동은 등.
1950.06 : 한국전쟁 발발.
1950.10 : 주간 <만화신보> 창간. 발행인 윤효중, 박성환

1951.01 : 국방부 주간지 <만화승리>육군본 <사병만화> 등 만화기관지 발간.
1951 : 김성환 시사만화잡지 [만화만문 전람회] 창간.

1952 : 김성환 [만화천국]창간 [세태만상] [카리카추아] 발간.
1952.11 : 김용환 [코주부 삼국지] 김성환[꺼꾸리군 장다리군] 월간지<학원>에 연재
1952 : 김상옥, 서봉재에 의해 일본해적만화<밀림의 왕자> 출간(100여쪽) (본격적 해적출판의
-------효시- 이후 해적판 성행)

1953 : 김용환 [코주부 삼국지] 발간
1954.07 : 칙영의 [블론디] <한국일보>에 연재 재기

 

 


----------1955 이 무렵 신문 4칸 만화 연재 관행으로 정착
----------<서울신문> - 김성환의 [얌전이와 염소] 김기율의 [도토리군]
----------<동아일보> - 김성환의 [고바우 영감]
----------<경향신문> - 김경언의 [두꺼비], 안의섭의 [두꺼비]등

1953.03 : 대중 월간잡지 <아리랑>(발행인 서재수)창간
----------(신인만화작가 공모전을 시행하는 등 당대의 만화작가 등용문 역할)

1955.06 : 미군 <극동사령부>에서 종합교양지로 <자유의 벗> 창간.
----------전속만화작가 : 김규택, 김용환 김의환 등.
1955.10 : 김성환 [만화독본, 우리나라 만화의 발달사] <아리랑>에 발표.

1956.02 : 김성옥, 어린이 월간 만화잡지 <만화세계> 창간
----------필진 : 신동우, 김용환, 김성환, 박기당, 최상권, 임수, 박호석, 이병주, 김기율, 김정파,
----------한성철, 김근배 등.
1956.05 : 월간 만화잡지 <만화학생> 창간
1956.06 : 성인대상 만화잡지<만화천지> 창간
1956.08 : 월간 성인만화잡지 <만화춘추> (발해인 : 임순묵)창간
----------필진 : 김경언, 김기율, 김성환, 김용환, 박기정, 신동헌, 심흥택, 안의섭, 이병주,
----------이재화, 이상호, 정운경, 정한기 외

1957.02 : 임창 [만화백면상] <신태양>에 발표
1957.09 월간 만화단행본 잡지 <7천국> 창간
1957 : <서울총판> 설립 (우리나라 최초의 총판 - 당시 서울시내 만화방은 200여개소)

1958 : 박기준의 [두동이] 시리즈 발간
1958 : 김원빈 [주먹대장] 발간
1958.06 : 디즈니 만화영화 <피터팬> 개봉
1959 : 이시기를 전후로 총판이 본격적으로 설립, 만화방이 폭발적인 증가추세
-------전국 약 2000개소 1959 : 김산호 [라이파이] 발표
1959 : 이즈음 유명한 만화책 : 김경언 - [칠성이 시리즈], 신동우 - [날쌘돌이],
-------이종진 - [철인 28호] 등
1959.10 : <대한만화가협?gt;(회장:김용환) <현대 만화가협회>(회장:김성환) 창립
1959.10 : [만화전]개최 [참가작가 : 김성환, 길창덕, 정운경, 박기정/서울공보관]
1959.10 :<제1회 만화가 대 영화배우 교환야구전>부산에서 개최
1959 : 김길영(바이올리니스트)에 의해 <만화연구소> 설립.
-------6개월 과정 (만화학원의 효시)
-------강사진 : 신동헌, 신동우, 송영방, 정파, 임수, 김경언,
-------배출인자 : 한희작, 임웅순, 김마정, 박문윤, 엄희자 등